전체 글58 주물사 시험법 1. 수분측정 시험법(KS A 5305) 주물사에 알맞는 양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가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시험실에서 실시하는 표준시험의 증발법과 모래처리 현장에서 실시하는 신속시험의 카바이드법 및 전기법 등이 있다. 가. 증발법 일반적인 방법으로 잘 혼련된 시료 50g을 채취하여 100±5℃에서 1~2시간 건조시킨 다음 냉각시키는데 흡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시게이터에 넣어 냉각시킨다. 상온으로 냉각된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수분함량을 결정한다. 건조 전 시료의 무게50(g) - 건조 후 시료의 무게(g) 수분함유량(%) = x 100 건조 전 시료의 무게50(g) 나. 카바이드법 현장에서 신속하게 시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정한 양의 시료와 칼슘카바이드분을 밀폐된 용기속에 혼합시켰을 때.. 2023. 8. 9. 주물사의 노화현상 및 재생처리법 가. 주물사의 노화현상 주물사는 반복 사용할수록 노화되어 간다. 주성분이 규사와 점토이므로 노화의 현상은 이 두가지 외에 금속산화물에 의한 노화이며 다음과 같다. ① 사립이 열로 인하여 붕괴되어 가늘게 되어가는 현상 ② 점토가 점결력을 잃어가는 현상 ③ 금속산화물의 혼입 등이다. (1) 규사의 노화현상 규사는 온도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하며 주조작업에서는 매우 빨리 가열되기 때문에 입자에 균열을 일으킨다. 처음에는 투명한 것이라도 용탕과 접촉 및 용탕과 가까이 있는 것들은 유백색으로 변하는데 이것은 사립의 내부에 균열이 발생된 것을 뜻한다. 균열이 된 사립은 자연 시효와 조형할 때 다져주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분쇄되어 이러한 사립의 변화가 주물사의 노화를 가져오게 된다. (2) 점토의 노화현상 주물사의.. 2023. 8. 2. 주물사 배합 및 재생 처리법 1. 주물사 배합 가. 주철용 주물사 일반주철의 주입온도는 1350 ~ 1400 ℃ 가량으로서 주강에 비하여 높지는 않으나 탄소의 함유량이 많은 것은 비교적 주입온도가 낮다. 그러나 강 스크랩이 많이 배합된 것이나 합금주철 등은 주입온도가 높아서 100 ℃ 이상의 차이를 가져온다. 따라서 주철용 주형에 사용되는 주물사는 천연사보다는 합성사나 배합사가 많이 쓰인다. (1) 생형사 생형에는 주로 산사에 통기성과 점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석탄분, 점토, 규사 등을 배합하여 산사는 천연적으로 수분과 점토성분이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생형사의 주요 특징은 통기성이 좋고, 주물표면이 아름답고, 사립이 가늘고, 내구성이 높고, 성형성이 풍부한 점 등이다. 보통 소결점은 1070℃, 연화점은 1450.. 2023. 8. 1. 첨가제, 도형제 및 이형제의 종류 3. 첨가제 주형은 모래와 점결제만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특수한 성질을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첨가제를 넣는다. 예를 들면 강도의 보강, 붕괴성 향상, 고온성질의 개선, 주물표면의 미려화 등을 위하여 첨가제를 배합한다. 가. 탄소계 주철주물의 표면을 깨끗이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써 석탄, 피치, 코크스 및 흑연분말 등이 있다. 이것은 용탕과의 연소반응에 따라 생기는 휘발성 가스에 의하여 주형과 금속표며과의 사이에 절연층을 만든다. 즉 모래의 표면에 탄소의 피막을 만들어 주물표면이 깨끗해지며 환원성 가스에 의한 용탕의 산화와 소착을 방지하고 주물사의 복용성을 증가시켜 주는 작용도 한다. 나. 목분 및 곡분 목분은 소착을 방지하고 살결을 좋게 하는 이외에 주입 후 주물사가 잘 .. 2023. 7. 3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